안녕하세요.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하는 블로그. DreaMerZ-Note 입니다.
Warning..!!
본 포스팅은 '정보 제공', '개인 기록'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
특정 투자 결정을 권유하거나 추천하지 않습니다. 모든 투자 판단은 본인 몫 입니다.
| Quick View.
장단기금리 역전이란?
#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단기 채권 금리 상승으로 장기 채권 금리를 역전하게 되는 상황.
장단기 금리 역전 후 발생한 경기침체는?
# 1998 역전 발생! 2000 닷컴버블
# 2005 역전 발생! 2008 금융위기
# 2029 역전 발생! 2019 코로나19
# 2022 역전 발생! 오잉 아직 침체가 없어? 그래서 2025 는 상승이야? 하락이야?
ㄴ 흠. 평소보다 현금성 자산 확보 추천!
| 장단기금리 역전이 뭐야?
장단기 금리 역전이란, 장기 채권의 금리와 단기 채권의 금리가 역전된 상황을 말합니다. 일반적으로 장기 채권의 금리는 단기 채권의 금리보다 높은 상태를 유지합니다. 말 그대로 장기적인 채권(국채)이기 때문에 단기 보다 높을 수 있는 거죠. 시중 예금 금리(이자)를 생각하면 쉽습니다. 다만, 현 시점과 같이 '기준 금리'가 높아 지면, 단기 채권의 금리가 높아지게 됩니다. 높아지다 보면 어느 시기에는 이전에 발행된 장기 채권의 금리와 단기 채권의 금리의 차이가 없어지게 되고, 단기 채권 금리가 더 높아지면, 그때 장.단기 금리 역전이 발생하게 됩니다.
* 장단기금리 역전은 일반적으로 '10년(Y) - 2년(Y) 채권' 금리를 비교합니다.
* 장단기금리 확인 사이트 : 미국 연준 (FRED) 10Y-2Y
아래 표는 '미국 연준(FRED)'에서 조회한 10Y-2Y 를 확인한 그래프입니다. 그래프를 보면 경기침체 직전, 어김없이 장단기금리 역전이 있었습니다. 2000년 이후 발생한 사건만 보더라도, 2000 닷컴버블, 2008 금융위기, 2019 코로나 직전에 10Y-2Y는 역전되었습니다. 이후 경기가 회복하나 싶었지만, 금리 상승과 맞물려 2022년 4월, 7월에 장단기금리 역전이 다시 발생했습니다.
그럼, 장단기금리 역전 후 발생한 경기침체에서 S&P500 지수가 어떻게 반응하였는 지 확인해보겠습니다. 다만, 각 침체에 대해서 왜 위기가 발생했는 지에 대해서는 나중에 하나씩 자세하게 기록해볼 예정이구요. 이번 포스팅에서는 '역전 시점, 하락기간, 하락률, 회복 기간'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| 지금과 비슷한 테마, 닷컴버블 (Dot-Com Bubble)
# 금리 역전 시점 : 1998.05.26 - 1998.06.20
# 지수 하락 기간 : 2000.08.14(1513) - 2003.01.27(803), 약 2년 6개월
# 고점 대비 하락 : -46%
# 고점 회복 기간 : 약 7년 (2007.04)
|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부른, 금융위기 (Financial Chrisis)
# 금리 역전 시점 : 2005.12.29, 2007.06.08
# 지수 하락 기간 : 2007.10.09(1564) - 2009.03.09(671), 약 1년 6개월
# 고점 대비 하락 : -56%
# 고점 회복 기간 : 약 4년 (2013.03)
| 강제 마스크, 코로나19 (Covid19)
# 금리 역전 시점 : 2019.08.15 ~ 2019.09.04
# 지수 하락 기간 : 2020.02.15(3376) - 2020.03.20(2247), 약 1개월
# 고점 대비 하락 : -33%
# 고점 회복 기간 : 약 6개월 (2020.08)
| 2022년에도 역전되었어?
# 금리 역전 시점 : 2022.04.01 ~ 2024.08.30
# 지수 하락 기간 : 2021.12.06(4757) - 2022.10.03(3598), 약 10개월
# 고점 대비 하락 : -27%
# 고점 회복 기간 : 약 2년 (2024.01)
| 그럼 2025년에 침체가 올까?
2000 닷컴버블, 2008 금융위기, 2019 코로나19의 S&P500 지수를 보면, 장단기금리 역전이 발생한 후 약 1년 6개월~2년안에 경기침체가 발생하였습니다. 하락 기간, 하락률, 회복기간은 모두 상이한 걸 볼 수 있었어요. 타격이 큰 시기에는 하락률도 더 크고, 회복하는 시간도 더 많이 필요했습니다.
단순히 금리차 역전으로만 모든 걸 계산할 수 없겠지만, 확실한 건 금리차 역전은 현 시점의 기준금리가 높다는 의미이고 금리를 낮추려고 할 때 쯤엔 경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지수 하락이 있을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2022.04에도 금리차 역전이 있었지만, 이전 사례와 다르게 역전 전부터 하락이 지속되었고 2022.12월까지 -27% 하락이 발생하였습니다. 2022년 초 기준금리 상승이 논의되었기에 금리차 역전에 대해 미리 선반영한 것으로 보여집니다. (-27%가 하락할 만큼 시장에는 충격이 있었습니다.)
-27% 하락도 큰 하락이지만, 이전 사례와 같이 침체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. 앞서 설명한 것 처럼 이전 사례들도 침체가 발생하면서 '기준금리'가 낮아질 때 지수가 더 낮아지고 있었기 때문에 현 시점에도 '기준금리'를 낮추는 시기에 신중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.
남은 2025년, AI가 미친듯한 성장을 하여 상승장을 유지할 지, 아니면 각국이 상호관세를 붙이면서 인플레가 폭팔하여 이전에 경험한 적 없는 하락장을 맞이할 지? 참으로 궁금해지네요.
이번 포스팅으로 장단기금리 역전을 분석해본 결과, 평소보다 현금성 자산을 조금 더 확보하는 걸 추천드리고 싶네요.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는 조금 더 유익한 정보를 갖고 오겠습니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