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하는 블로그. DreaMerZ-Note 입니다.
| Quick View
# 이번 포스팅은 적용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Quick View 는 제공되지 않아요.
# 8단계로 작성했으니 순차적으로 적용해보세요.
| Google Anlaytics 란?
구글 애널리틱스(GA)란 구글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웹 분석 서비스입니다. 그럼, 웹 분석은 무엇일까요? 운영 중인 웹 사이트의 이용 현황을 통계적으로 파악하여 관리자에게 접속 사용자, 접근 경로(유입 출처), 접속 후 사용자 패턴 등을 분석한 내용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.
블로그를 운영하다보면 어느 나라에서 접근했는 지, 몇 초, 몇 분 정도 페이지에 머물렀는 지 등을 확인할 수 있죠. 블로그가 아닌, 판매 사이트나 커뮤니티 사이트라면 더욱 활용이 높은 서비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.
그럼, 이어서 Google Anlaytics 에 가입하고 블로그에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. 최대한 이해를 돕고자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첨부했으니까요, 단계별로 잘 따라오세요.
| Google Analytics 가입 및 시작하기
1. Google 애널리틱스 '측정시작' 클릭
2. 가입하기 > '계정 세부 정보' 기입
- 계정 이름은 '구글 계정' 이름이 아니여도 됩니다. GA에 사용할 이름을 작성해주세요.
3. 속성 만들기 > '속성 이름' 기입
- GA에서 활용할 속성 이름을 기입해주세요.
3. 비지니스 세부 정보 > '인터넷 및 통신' & 작음 - 직원 1~10명
- 블로그 관리라면 저와 같이 적용하시면 됩니다.
- 다만, 판매 사이트, 커뮤니티 사이트라면 해당되는 옵션을 선택해주세요.
4. 비지니스 목표 선택 > 해당되는 옵션에 체크!
- 관리하는 사이트에서 측정하고 싶은 데이터의 종류를 선택해주세요.
- 일반적으로 블로그는 유입 출처와 사용자 참여 관련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 2가지 옵션에 체크하였습니다.
5. Google 애널리틱스 서비스 약관 계약 > 모두 '동의'
7. 데이터 스트림 설정 > 'URL' 입력 > 스트림 이름
- 여기까지 오면 80% 설정하신거에요.
- 분석에 활용할 사이트(URL)을 적어주시고 관리 스트림 이름을 작성해주세요.
- 사이트는 블로그 주소
- 스트림 이름은 편하게 작성
8. Google 애널리틱스 측정 ID + 태그 정보를 구글 블로그에 적용!
- 이제 스트림이 활성화되면, 아래 사진과 같이 스트림 ID와 측정 ID가 새성됩니다.
- 측정 ID는 블로그 관리 페이지에서 설정 > Google 애널리틱스 측정 ID에 기입해주세요.
- 그럼, 다시 구글 애널리틱스로 돌아와서 태그 스크립트를 복사해주세요.
- 그리고 블로그 관리 페이지에서 테마 > HTML 편집을 클릭해주세요.
- <head> </head> 태그 사이에 복사한 스크립트 구문을 복사해주세요.
- 아래 이미지와 같이 </head> 태그 앞에 복사하시면 됩니다.
- 마지막으로 잘 적용되었는 지,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'테스트' 버튼을 누르고 v 가 표시된다면 잘 적용된거에요.
## 그럼 이제 '구글 애널리틱스' 관리 페이지에서 상세한 웹 분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. 매우 쉽죠?
댓글 없음:
댓글 쓰기